ECONOMY

2023년 특례보금자리론 알아보기

Takemymoney 2023. 3. 26. 22:20
반응형

갖고 싶은 나의 집

2023년 특례보금자리론에 대해서 알아본다. 부동산 침체기에 접어들며 정부의 지원책은 보다 공격적으로 마련될 환경이 되었고, 실제로 2023년에 제공되는 특례보금자리론은 과거보다 좋은 조건으로 집 살 돈을 마련해줄 수 있는 기회가 되고 있다. 현재 주택 매수를 고려하고 있는 분들이라면 정부 지원 대출인 특례보금자리론을 살펴보고, 본인의 환경과 선택에 적합하다면 이왕이면 좋은 조건의 정부 지원 대출을 이용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이다.

 

특례보금자리론 대상요건

주택가격 9억원 이하의 매물을 대상으로 하며,

놀랍게도 소득제한이 없으며,

무주택자 또는 1주택자이면 대출이 가능하다.

자금 용도는 주택 구입 / 기존 주택담보대출 상환(대환) / 임차보증금 반환 등 여러목적이 모두 가능하다.

 

특례보금자리론 지원내용

최대 5억원까지 대출이 가능하다. LTV와 DTI 조건을 우선 따져보고, LTV 조건이나 DTI 조건에서 아무리 많은 금액이 대출이 가능해도 최대 대출 가능 금액은 5억원이 한도라는 뜻이다.

 

LTV는 주택 시세 대비 대출 가능 비율이다. LTV 최대 70%이며, 생애최초주택구입인 경우에는 80%까지 인정해준다. 예를들어 시세 9억짜리 아파트를 살때 LTV 70%이면 9억의 70%, 즉 6억3천만원까지 LTV 조건으로는 대출이 가능하다는 뜻이며, 대출한도가 최대 5억원이므로 6억3천과 5억원 중 작은 금액인 5억원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게된다.

 

DIT는 소득 대비 상환액(이자+원금) 비율이다. 매월 갚아나가는 이자와 원금이 본인의 소득대비 몇% 되냐를 따지는 비율이다. DTI는 최대 60%이다. 보통 DTI 조건에 걸려서 대출액이 부족한 경우는 드물다. 그래도 보금자리론을 신청할 수 있는 한국주택금융공사(https://www.hf.go.kr/) 홈페이지에서 보금자리론 대출 신청 절차를 진행해보면 실제로 대출 신청단계까지 가지 않더라도 본인의 소득정보 및 대출희망금액 등을 입력하는 과정을 통해서 대출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니 최종 확인을 해보고 진행해보면 된다.

 

만기는 10년~50년까지 다양하게 선택이 가능하고, 만기 40년과 50년은 조건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는 사람이 있고 불가한 사람이 있다.

- 만기 40년 : 만39세 이하 또는 신혼부부

- 만기 50년 : 만34세 이하 또는 신혼부부(체증식 상환방식 이용불가)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가능하면 만기는 길면 길수록 좋다고 생각한다. 주택담보대출을 순수하게 대출상환으로 갚는 사람들은 매우 드물다. 대부분은 시간이 지나면서 물가가 상승하고 주택가격이 오르면서 주택을 처분하고 다른 곳으로 갈아타기를 하면서 갚게된다.

 

예를들면 내가 5억 빚을 지고 내돈 4억원을 들여서 9억 짜리 아파트를 샀는데, 만기 50년으로 해서 살면서 원금을 거의 못갚았다고 하더라도, 주택 매수 후 10년 뒤에 주택 가격이 12억으로 오르면 12억에 아파트를 팔고 대출 5억원을 갚고 남은 돈 7억원을 받아서 다른 곳으로 이사를 가면 된다. 사실상 내 집사서 은행에다가 이자 내면서 거주할래, 아니면 남의집에서 월세 살면서 거주할래의 선택의 문제라고 보면 된다.

 

특례보금자리론 금리

특례보금자리론은  약 4%대 고정금리를 적용받게 된다.('23년3월 기준)

아낌e 할인, 신혼가구 할인 등 금리 할인을 추가로 더 받으면 더 낮출 수도 있다. 아낌e 할인은 특별한 조건 없이도 스스로 온라인 신청을 통해서 대출을 신청하면 받을 수 있는 할인이니 꼭 받도록 하자.

 

특례보금자리론 신청방법

온라인과 모바일 2가지 방법으로 신청가능하다. 편한 쪽으로 하면 되고 온라인으로 신청하거나 모바일로 신청하거나 신청 완료 후에 온라인/모바일 모두에서 내용 확인이 가능하다. 이것저것 제출할 서류도 있고 하다보면 막히는 부분도 있으므로 큰 화면으로 볼 수 있는 온라인으로 신청하는 것을 추천한다.

 

특례보금자리론 문의방법

사실 이번 글에는 간략히 대략적인 사항들만을 기재하였지만 구체적으로 실제 대출을 받으려고 보면 애매하고 궁금한 것들이 반드시 생길 것이다. 예를 들면 시세 9억원 미만이 조건이라고 하는데 시세의 기준은 무엇인지? 만약 대출 신청하는 시점에서는 9억원이었는데 대출 심사하는 시점에는 9억원을 초과해버렸다면 어떻게할지 등등 실제 대출 신청시에는 궁금하고 걱정되는 점이 많이 발생한다. 일단 기본적으로 한국주택금융공사 특례보금자리론 설명 자료에 대부분의 사항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있지만 이를 보고도 애매한 부분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콜센터로 전화 또는 홈페이지 문의글을 남겨보는 것을 추천한다. 참고로 콜센터는 평일 낮시간에 전화하더라도 생각보다 연결이 원활하고 상담사분들도 친절하므로 콜센터로 전화해보기를 추천한다.

 

끝.

 

반응형